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얀겔의 위대한 실험
- 오타루
- 다시장인인다
- 통계
- R통계
- #협력적계획이론 #패치힐리 #도시계획이론
- FUJIx100f
- 일본연구
- python
- 링크타운
- 지구정치학담론
- 정선 가볼만한 곳
- 산업연관표
- 오사카생활
- 산업연관분석
- nofilter
- 타지리초
- 건담프라모델
- R프로그램
- FUJIJILM
- x100f
- 짱구는 못말려 15기
- 일본
- Greeen
- 사북 석탄
- 지속가능한개발
- 얀겔
- 문화
- 트랜지션타운
- python 기초
- Today
- Total
목록내가 알아가는 도시 (87)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1. 왜 어떤 거리는 걷고 싶은가? 1) 강남 거리는 왜 걷기 싫을까? ■ 유럽vs미국 - 유럽의 도시들은 대부분 자동차가 발명되기 오래전부터 생선된 것으로, 도시 내 도로망들이 사람 혹은 사람의 보행속도보다 약간 더 빠른 마차가 지나가는 길을 따라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난 것이 대부분 - 결과적으로 도로의 결절점이 더 자주 만들어지게 됨 - 반면, 미국의 경우 자동차를 위해서 만들어진 도시가 대부분 - 자동차는 짧은 시간에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거리가 짧아지고 따라서 자동차를 위한 교차로는 가끔식 있어도 되었고, 결과적으로 도시의 블록이 크게 고획되어지게 되었음 2) 명동엔 왜 걷는 사람이 많을까? ■ 보행자들이 거리를 걷게 되면 거리를 따라서 사엄들과 건물의 입구가 나타나게 되는데,..
3.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사회 - 도구적 이성의 동일성 원리 3) 동일성 원리의 실현 ■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에 대한 비판, 특히 도구적 이성이라는 개념은 이렇듯 베버의 합리화론이라는 서구 사회에 대한 비관적 진단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음 ■ 하버마스에 따르면 근대 사회의 목적 합리성 행위 속에서 관철되는 베버의 형식적 합리성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있어서는 전체 문명사에 걸쳐 작동하는 도구적 이성으로 설정되고 있는 셈 ■ 다시 말해 이들은 베버의 테제를 이중적으로 일반화시키는데, 시간적으로는 인류역사전체로, 그리고 내용적으로는 주체의 지배논리로 소급시킴으로써 도구적 이성 개념을 확장 ■ 여기서 더 나아가 아도르노는 도구적 이성의 메커니즘이 주체의 자기보존이라는 절대명령에 봉사하는 이른바 '..
3.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사회 - 도구적 이성의 동일성 원리 1) 이성 합리화의 도구가 되다. ■ 아도르노는 현대 문명이 파국으로 치닫게 된 원인이 계몽의 전개 과정, 즉 인간의 자기보존에서 시작되어 외적 자연과 내적 본성의 지배로까지 이어진, 이성의 지배가 총제화된 결과 인간의 자기보존 -> 인간에 의한 자연지배 -> 인간에 의한 사회지배 -> 인간에 인간 내적자연지배 -> 계몽에 의한 지배 총체화 ■ 그렇다면 총체적인 지배가 가능하기 위해 인간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 우선 인간은 대상을 지배하고 효율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대상을 수량화하고 계산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야 함 - 이는 대상의 양적인 측면만을 고려하고 각각의 대상이 갖고 있는 특수한 질이나 차이는 무시한다는 것을 의미 - 즉, 계몽의 ..
2. 인류는 왜 야만상태에 빠졌는가? 1) 인류사에 대한 계몽적 각성 ■ "단 한번의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다면, 그래서 가장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거라 생각되는 시간과 공간을 선택해서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간다면, 어느 시대를 선택하겠는가?" -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과거에 비해 안전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전쟁 등 다양한 위험이 현세계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의 변증법의 문제의식은 바로 여기에서 출발 - " 왜 인류는 진정한 인간적 상태에 들어서는 대신에 새로운 종류의 야만 상태에 빠졌는가?" ■ 그들은 현재의 상황을 "새로운 종류의 야만"이라고 칭한 이유는 시대 경험에서 비롯되는데, 히틀러에 의한 나치즘의 집권과 아우슈비츠의 유대인 학살로 대변되는 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