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다시장인인다
- 일본연구
- FUJIx100f
- R프로그램
- R통계
- 통계
- 사북 석탄
- python 기초
- python
- 건담프라모델
- 지구정치학담론
- 오사카생활
- 트랜지션타운
- #협력적계획이론 #패치힐리 #도시계획이론
- 지속가능한개발
- 얀겔
- 일본
- 산업연관분석
- nofilter
- Greeen
- x100f
- 문화
- 짱구는 못말려 15기
- 타지리초
- 얀겔의 위대한 실험
- FUJIJILM
- 산업연관표
- 정선 가볼만한 곳
- 링크타운
- 오타루
- Today
- Total
목록내가 알아가는 도시 (87)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국토 제436호(2018.02)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가공간정보기술 발전방향(김형석) [정책흐름] 공간정보 관련 연구개발은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2012년까지는 독립된 연구사업이 아닌 첨단도시개발사업의 일부로 수행 이 기간에는 유비쿼터스 국토 실현을 위한 공간정보의 획득 · 처리 · 제공기술 혁신을 통해 세계U-GIS 시장 선도기술 개발을 목표로 지능형 국토정보 기술혁신 사업단 과제를 수행 2013년 첨단도시개발사업이 도시건축 연구로 개편된 이후 차세대 공간정보 표현기술과제를 통해 실시간 전자지도구축 시스템 설계기술 등을 개발 2014년에는 공간정보 분야 연구개발의 전문성과 책임성 확보 및 사업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 도시건축 연구에서 분리하여 국토공간정보 연구사업으로 독립하고, 기존의 공간정보인..
루이스 멈포드 1. 생애- 멈포드의 주요 저술은 시기적으로 3개로 나눌 수 있음- 1930년대 초반: 주로 미국 문화, 특히 건축과 문학을 주로 다루었음- 1930년대 중반부터 1950년대 초반: 주로 삶의 갱신이라는 일련의 주제를 다루었는데, 도시의 문화는 두 번째 시기를 대표하는 저작. 이후 미국 도시의 중성화가 가져오는 문제들의 논쟁에 참가하게 되고, 마침내 1941년에는 그러한 이슈와 관련해 라이트 등과의 교분도 끊음 #중성화 : 그는 경제적 합리주의가 현대도시에서의 공간의 중성화를 심화시킨다고 주장. 즉, 도시 근린에서 장소를 제거하고 바꾸어놓으면서 새로운 의미의 쫓겨남, 이동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경제적 합리주의: 순전히 경제적 측면에서만 사물을 고찰하여 경제적 손익만을 고려하고 사회적 ..
천민자본주의 #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며, 이로부터 경제적 활동이 보장되고 자본주의 발전의 토대를 마련 # 하지만 자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강조하는 개인주의에 집착한 나머지 시장에서는 생산의 과잉이 발생, 이로부터 시장의 자율적 조절기능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됨 #또한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개인주의는 타락의 길을 걷게 되고, 경제문제의 전제로서 기능하던 개인주의는 타인의 처지를 무시한 채 개인의 이익에 집착한 나머지 이기주의로 타락하게 되어 천민자본주의가 등장 # 천민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인간의 도구화와 인간성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사람의 생명이 경시되고, 자신의 이기심을 위해 타인의 자유침해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사고가 만연하게 됨 # 뿐만 아니라 개인을 ..
1. 협력적 계획이론의 등장배경- 협렵적 계획이론은 1980년대 중반에 형성- 당시 패치 힐리는 영국 개발과정의 지침인 계획정책, 개발계획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작업에 깊숙히 관여했는데, 이는 계획을 통한 개입, 토지와 부동산 개발과정, 배분적 산출물 간의 복잡한 관계를 탐색해야 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전략적 구조계획의 근거를 충분히 갖추고자 함- 당시 개발계획이 바로 집행될 수 있다는 생각은 "전통적 계획개념"을 반영하고 있음 : 시간이 흐르면 땅 위의 건조물 형태로 전환된다는 공간적 청사진의 개념- 하지만 1960년대 "새로운 계획정책"이 출현하면서 이러한 생각은 변화를 맞음 - 특히 1968년에 도입된 구조계획(structure plan)은 공간적 청사진보다는 토지부동산 개발과정을 지도하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