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벤야민&아도르노(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2 본문

내가 알아가는 도시/Urban Sociology

벤야민&아도르노(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2

세화주 2016. 2. 17. 11:13

1. 해방을 위한 비판이론

 

2) 전통이론과 비판이론

 

■ 비판이론의 전기와 후기

 

- 호르크하이머는 혁명에 대한 희망을 보존하고 있는가 아니면 상실했는가에 따라 비판이론을 전기와 후기로 구분

- 비판이론 초기의 대표적 저작인 "전통이롼과 비판이론"에서 그는 전통이론과 비판이론을 일단 인식방법의 차이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음

- 전통이론은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비판이론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비판에 기초

 

■ 데카르트로부터 실증주의에 이르는 전통이론은 가능한 모든 대상을 포괄할 수 있는 보편적 체계적 학문의 수립을 목표로 함

 

■ 즉, 이론이란 "체계적인 통일성을 지니도록 연역적으로 명제들을 결합한 것으로서, 모든 부분이 모순없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있을 것을 기본적 요건으로 한다"는 것이 바로 전통이론의 시각

 

■ 이러한 점에서 전통이론은 수학 체계를 이상적 모델로 하고 있으며, 자연과학이 수학을 구성원리고 하고 있기 때문에, 전통이론의 관점에서 인간과 사회에 관한 과학(사회과학)도 자연과학의 모범을 따르고자 하고 있음

 

■ 반면 비판이론은 오늘날 인간을 지배하고 억압하는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고 사회 전체의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 비판적 의식을 발전시키고자 함

 

■ 비판이론은 단순히 지식 자체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노예적인 상태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고 진정 인성적인 사회 질서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이러한 점에서 비판이론은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이 사회의 이성적 상태와 불가분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확신을 전체로 하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을 만족시켜야 함

- 현재의 사회 현실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이가를 드러애냐 한다는 점에서 설명적 이어야 함

-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낸다는 점에서 실천적이어야 함

- 사회변혁을 위한 비판과 실천적 목표를 위한 규범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규범적이어야 함

 

 

 초기(1930년대)

 

 후기(1940년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대한

신념을 유지

 프롤레타리아 혁신 신념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대한

신념을 상실

전통이론과 비판이론 

 대표저작

 계몽의 변증법

철학, 정치학, 사회고학의 종합에 근거한

현대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의 생산을 목표로 함

 주요관심

 인간의 자연 지배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한 역사철학, 철악적 인류학 및 문화에 대한 비판이 목표

출처: 벤야민&아도르노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신혜경 지음,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