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짱구는 못말려 15기
- 오타루
- FUJIJILM
- 일본연구
- #협력적계획이론 #패치힐리 #도시계획이론
- 산업연관표
- 오사카생활
- Greeen
- nofilter
- 일본
- 지구정치학담론
- python
- 지속가능한개발
- 문화
- 통계
- R프로그램
- 다시장인인다
- x100f
- 타지리초
- 사북 석탄
- 트랜지션타운
- 정선 가볼만한 곳
- 링크타운
- FUJIx100f
- R통계
- 산업연관분석
- 얀겔의 위대한 실험
- 얀겔
- python 기초
- 건담프라모델
- Today
- Total
목록세화주의 이야기 (112)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1. 지방세입의 종류 1) 지방세 2) 세외수입 3) 지방교부세 4) 국고보조금 5) 지방채 2. 지방세 - 조세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그 경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개별적 보상 없이 일반국민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화폐를 의미 - 국세는 국가가 과세의 주체 -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가 과세의 주체 * 보통세 : 일반 재정을 위해 징수하는 조세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소득세, 부가가치세, 법인세 등 대부분의 조세가 보통세임. 세금의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고 일반경비로 쓰이는 것을 보통세. * 목적세 : 특정한 용도가 정해져 있는 것을 목적세 ============================================================================ (1) 취득세란 - 동산이..
Third place In community building, the third place is the social surroundings separate from the two usual social environments of home ("first place") and the workplace ("second place"). Examples of third places would be environments such as churches, cafes, clubs, public libraries, or parks. In his influential book The Great Good Place, Ray Oldenburg (1989, 1991) argues that third places are imp..
The United Nations defines community development as "a process where community members come together to take collective action and generate solutions to common problems."[1] It is a broad term given to the practices of civic leaders, activists, involved citizens and professionals to improve various aspects of communities, typically aiming to build stronger and more resilient local communities. C..
1. 생태적 근대화 이론 생태적 근대화는 독일의 사회학자 Joseph Huber와 Martin Janicke를 중심으로 제기된 이론(Mol, 2006). 생태적 근대화 이론은 산업사회를 어떻게 하면 생태학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그 주체, 방법, 과정 등을 다룬다(구도완 등, 2015, p.67).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과도 유사하지만 자본주의 정치・경제의 틀 내에서 현 사회시스 템을 환경적으로 좀 더 건전한 수준에서 재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이시재 등, 2010). 생태적 근대화 이론은 환경과 경제를 서로 대비되는 관계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상생 가능한 관계로 보고 있다. 즉, 환경정책을 통해 기업에 게도 이득이 돌아간다는 것이 핵심이며, 성공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