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R통계
- 링크타운
- 다시장인인다
- 지속가능한개발
- FUJIx100f
- 짱구는 못말려 15기
- 오타루
- 정선 가볼만한 곳
- FUJIJILM
- R프로그램
- 일본연구
- 타지리초
- 일본
- python 기초
- 얀겔의 위대한 실험
- 얀겔
- x100f
- 지구정치학담론
- 산업연관표
- #협력적계획이론 #패치힐리 #도시계획이론
- 사북 석탄
- 산업연관분석
- 오사카생활
- nofilter
- 문화
- 건담프라모델
- 통계
- 트랜지션타운
- Greeen
- Today
- Total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산업연관표-4 본문
산업연관표 - 4(산업연관분석해설 한국은행 2014 참조)
1. 산업연관분석의 기본 개념
가. 산업연관분석의 기본가정
첫째, 결합생산이 존재한지 않는다는 가정으로 한 산업은 한 상품만 생산, 즉 각 상품과 각 산업부문은 1대 1의 대응관계에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대체생산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으로 각 상품에 대하여 하나의 생산방법만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셋째,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으로 각 부문의 사용한 투입량은 그 부문의 생산수준에 비례한다. 즉 각 투입물의 증가율만큼 생산수준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
넷째, 외부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으로, 각 부문이 개별적으로 행한 생산활동 결과의 총게는 각 부문이 동시에 행한 결과와 같다는 가정이다.
나. 투입계수와 생산유발계수
투입계수란 각 산업부문이 해당 부문의 재화나 서비스 생산에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부문으로부터 구입한 원재료 및 연료 등의 중간투입액을 총투입액으로 나눈 값을 투입계수 또는 기술계수라고 한다.
투입계수는 산업 간의 연관관계 또는 상호의존관계를 나타내어 해당 산업의 기술구조 또는 생산함수로 이해할 수 있는데, 투입산출표에서 나타나는 생산함수의 형태를 레온티에프 생산함수라고 한다.
부가가치율은 노동 등 본원적 투입물에 대한 대가인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등 부가가치액을 총투입액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생산유발계수는 투입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지만, 무한히 반복되는 생산유발효과를 투입계수를 이용해서 일일이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행렬이라는 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계수를 도출하여 분석에 사용하게 된다.
생산유발계수는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하였을 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생산액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출 과정에서 역행렬이라고 하는 수학적 방법이 이용되므로 역행렬 계수 꼬는 레온티에프 역행렬이라고 한다.
2. 투입계수
투입계수는 각 품목부문이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에 사용하기 위하여 구입한 각종 원재료, 연료 등 중간투입액을 해당 상품의 총투입액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즉, 투입계수는 각 부문 생산물 1단위 생산에 필요한 각종 중간재 및 부가가치의 단위를 나타내기 때문에 각 품목부문의 생산기술구조, 즉 투입과 산출의 생산함수를 의미한다.
1부문 제1열 을 총투입액 x1로 나눈 값을 이라 하면 이것이 1부문 생산물 한 단위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산업부문 생산물의 크기를 나타내는 투입계수이고 1부문의 부가가치 v1을 x1로 나눈 것이 부가가치율이다. 이를 일반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투입계수 :
부가가치율 :
투입계수와 부가가치율은 금액 단위로 작성된 투입산출표에서 도출하여 사용한다. 이는 물량 단위로 작성된 투입산출표를 사용할 경우 행 방향으로는 동일한 물량 단위가 적용되므로 합산 등의 계산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열 방향으로는 각기 다른 물량 단위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합은 경제적으로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금액 단위 투입산출표는 행 방향 및 열 방향 모두 동일한 단위로 작성되므로 각종 계산이 가능하며 행과 열의 합이 일치하여 투입산출표의 정의에도 부합하게 된다.
또한 열방향으로 특정부문의 투입계수와 부가가치율을 합하면 1이 된다.
투입계수 행렬
부가가치율
3. 투입계수를 통한 생산파급
산업연관분석은 투입계수를 기초로 한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 분석을 의미한다.
앞에서 작성된 투입계수표가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 분석에서 어떻게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국민경제를 전체로 보면 각 산업부문의 생산활동의 궁극적 목적은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다른 산업부문의 중간재로 판매되는 생산재의 경우 직접적으로 최종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최종재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이것 또한 간접적으로 최종수료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면 -> 면사 -> 면직물 -> 의복류의 생산공정에서 보면 의복류만이 최종재로 사용될 수 있고, 원면, 면사, 면직물은 모두 중간재로만 투입(수출은 없다고 가정)되지만 최종재인 의복류의 생산을 위해 중간투입이므로 궁극적으로 모두 최종수요 충족을 위해 생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나라의 모든 재화와 서비스는 직간접적으로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생산되며 그 총산출 규모도 최종수요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때 최종수요와 각각의 재화 및 서비스의 총산출 수준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투입계수이다.
예를 들어 농림수산품에 대한 민간소비수요 100과 광공산품에 대한 수출수요 400의 합계 500만큼의 최종수요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 산업부문에서 얼마만큼의 생산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앞에서 작성한 투입계수표를 이용하여 계산해보기로 하자.
먼저 발생한 최종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농림수산품 100과 광공산품 400이 생산되어야 하므로 직접적으로 500만큼의 생산효과가 있게 된다. 그런데 농림수산품 100과 광공산품 400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종 원재료 등 중간재가 투입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산업부문의 생산물이 얼마만큼 중간재로 생산되어야 하는가는 다음의 투입계수표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농림수산품에 대한 민간소비수요 100과 광공산품에 대한 수출수요 400발생]
1-1. 농립수산품 100과 광공산품 400이 생산되어야 하므로 직접적인 500만큼의 생산효과가 발생
1-2. 농림수산품 부문
(직접 생산파급효과인 농림수산품 100과 광공산품 400생산을 위해서)
(100 * 0.0624) + (400 * 0.0211) = 14.68
-> 0.0624 : 농림수산품 부문에서 농림수산품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한 투입계수
-> 0.0211 : 농림수산품 부문에서 광공산품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한 투입계수
-> 14.68 : 농림수산품 부문에서 농림수산품과 광공산품이 중간재로써 생산된 량
1-3. 광공산품 부문
(직접 생산파급효과인 농림수산품 100과 광공산품 400생산을 위해서)
(100 * 0.3021) + (400 * 0.6434) = 287.57
1-4. 서비스 및 기타부문
(직접 생산파급효과인 농림수산품 100과 광공산품 400생산을 위해서)
(100 * 0.0810) + (400 * 0.1278) = 59.22
따라서 농림수산품 100, 광공산품 400의 생산을 위해 1차적으로 필요한 중간투입물은 모두 361.47이 되는데 이것이 곧 최종수요 500의 발생에 따라 모든 산업부문에 미치는 1차 생산 파급효과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1차 생산파급효과로 나타난 농림수산품 14.68, 광공산품 287.57 그리고 서비스 및 기타 59.22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시 중간투입물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2차 생산파급효과의 크기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2-1. 농림수산식품 부분
(1차 생산파급효과인 농림수산품 14.68과 광공산품 287.57과 서비스 및 기타 59.22생산을 위해서)
(14.68 * 0.0624) + (287.57 * 0.0211) + (59.22 * 0.0054) = 7.30
2-2. 광공산품 부분
(1차 생산파급효과인 농림수산품 14.68과 광공산품 287.57과 서비스 및 기타 59.22생산을 위해서)
(14.68 * 0.3021) + (287.57 * 0.6434) + (59.22 * 0.1981) = 201.19
2-3. 서비스 및 기타 부분
(1차 생산파급효과인 농림수산품 14.68과 광공산품 287.57과 서비스 및 기타 59.22생산을 위해서)
(14.68 * 0.0810) + (287.57 * 0.1278) + (59.22 * 0.2760) = 54.29
위에서 본 바와 같은 생산의 파급과정은 3차, 4차 .... 로 무한히 계속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생산파급효과를 모두 합산하면 이것은 최초로 발생한 농림수산품에 대한 민간소비 수요 100과 광공산품에 대한 수출수요 400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 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즉 총산출액의 수준을 의미한다.
'내가 알아가는 도시 > Urban Econom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2(수요의 가격탄력도) (0) | 2016.08.02 |
---|---|
미시경제-1(수요와 공급) (0) | 2016.08.02 |
산업연관표-3 (0) | 2016.05.10 |
산업연관표-2 (0) | 2016.05.09 |
산업연관표-1 (0) |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