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본
- 사북 석탄
- 건담프라모델
- 얀겔
- R통계
- 산업연관분석
- 산업연관표
- 일본연구
- 지구정치학담론
- 정선 가볼만한 곳
- 짱구는 못말려 15기
- 통계
- Greeen
- 오타루
- FUJIJILM
- nofilter
- FUJIx100f
- 지속가능한개발
- 타지리초
- 문화
- 다시장인인다
- 링크타운
- x100f
- #협력적계획이론 #패치힐리 #도시계획이론
- python 기초
- 트랜지션타운
- 얀겔의 위대한 실험
- python
- R프로그램
- 오사카생활
- Today
- Total
목록내가 알아가는 도시/Definition of term (15)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국토연구(2014.07)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제도 국토교통부는 우면산 산사태, 강남역 주변 침수등을 계기로 도시방재정책을 적극마련하면서 광역도시계획, 도시군기본계획, 도시군관리계획 등 도시계획 수립지침을 개정. 2012년 7우얼1일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제도(이하, 재해취약성분석)를 도입 재핵취약성분석이란 폭우, 폭염, 폭설, 가뭄, 강풍, 해수면 상승의 6개 기후변화 재해로 구분하고, 기후노출과 도시민감도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재해별 취약지역을 도출하는 방법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재해를 유발하는 기온, 강수량 등과 같은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며, 도시민감도는 기후변화 재해에 따른 도시의 물리적 취약특성과 취약지역의 도시구성요소(시민, 기반시설, 건축물)의 재해위험성을 의미
국토연구(2018.02) Linked open data : 개방된 데이터를 상호 연결하고 의미론적 추론을 통해 좀 더 활용성이 높은 구조화된 데이터 데이터 기반의 변화와 혁신에 대응하기 위하여 데이터 활용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이 때 데이터 개방 정책과 더불어 사용하기 쉽고 편한 데이터 제공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로 링크드 오프 데이터가 있음 월드와이드웹(WWW)을 개발한 팀 버나스리(Tim Berners-Lee)는 데이터 개방 형식을 5가지 단계로 제시하였으며, 이 중 활용성이 가장 높은 데이터 구조로 LOD를 제시 LOD는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데이터 4원칙에 따라 구조화하여 연계하여 데이터 주도 사회의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지능적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임용호, 강민조 2017, 21)
국토연구(2018.02)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 국가공간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6조에 의거하여 수립하는 5년 단위의 법적계획
1. 행정행태론(administrative behaviorism)[출처: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이해하기 쉽계 슨 행정학용어사전] -> 인간관계론에 착안하여, 의사결정 과정을 핵심으로 하는 행정행태(行政行態)를 중심으로 행정의 본질을 구명하는 이론체계. 행태론적 행정이론 또는 행태론적 행정학이라고도 부른다. #의사결정(decision making) : 조직의 운영정책 및 주요 계획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대안 가운데서 가장 바람직한 행동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행정행태(administrative behavior) : 행정에 내재하고 있는 인간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집단 구성원들의 행동 내지 태도, 행태는 원래 심리학의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자극에 대해 유기체의 근육반응 및 분비반응을 총칭하는 말인데,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