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타지리초
- 일본
- x100f
- 산업연관분석
- R통계
- python 기초
- 일본연구
- 얀겔
- 산업연관표
- FUJIx100f
- Greeen
- python
- #협력적계획이론 #패치힐리 #도시계획이론
- FUJIJILM
- 트랜지션타운
- 지속가능한개발
- nofilter
- 지구정치학담론
- 다시장인인다
- 문화
- R프로그램
- 짱구는 못말려 15기
- 오타루
- 오사카생활
- 정선 가볼만한 곳
- 건담프라모델
- 링크타운
- 얀겔의 위대한 실험
- 통계
- 사북 석탄
- Today
- Total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행정행태론 본문
1. 행정행태론(administrative behaviorism)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이해하기 쉽계 슨 행정학용어사전]
-> 인간관계론에 착안하여, 의사결정 과정을 핵심으로 하는 행정행태(行政行態)를 중심으로 행정의 본질을 구명하는 이론체계. 행태론적 행정이론 또는 행태론적 행정학이라고도 부른다.
#의사결정(decision making) : 조직의 운영정책 및 주요 계획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대안 가운데서 가장 바람직한 행동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행정행태(administrative behavior) : 행정에 내재하고 있는 인간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집단 구성원들의 행동 내지 태도, 행태는 원래 심리학의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자극에 대해 유기체의 근육반응 및 분비반응을 총칭하는 말인데, 이를 행정 연구에 도입하여 주로 행정현상을 파악하는 데 사용.
행정행태란 사회집단이나 행정조직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여기에 행정인의 의사결정을 투입하였을 경우, 그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나 결과에서 그 집단 또는 조직에 나타나는 현상, 즉 집단 구성원들의 행동양식, 의식구조, 사고방식, 가치추구등의 태도를 의미
-> 행정행태론은 1940년대에 등장하였는데 당시 각광을 받던 인간관계론과 논리실증주의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즉, 행정행태론은 초기행정학[과학적 관리론]의 기계론적 인간관(→고전적 인간관)을 비판하고 대두. 인간관계론의 인간관계적 측면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며, 또 초기 행정학이 내세운 기술주의 내지 원리주의의 비과학성을 지적하고 행정은 어디까지나 과학적으로 구명하여야 한다는 주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theory) : 조직구성원들의 사회적, 심리적 욕구와 조직 내 비공식집단 등을 중시하며, 조직의 목표와 구성원들의 목표 간의 균형 유지를 지향하는 민주적, 참여적 관리 방식을 처방하는 조직이론. 과학적 관리론에 대한 반발로 등장
# 논리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 개념과 명제의 의미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경험주의적 연구 지향을 말함. 논리실증주의는 가치 문제와 형이상학을 배제한 실증 가능한 경험적 사실만을 연구 대상으로 주창
## 형이상학(metaphysics) : 추상적
#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approach) :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엽 미국에서 산업자본주의가 전개됨에 따라 일어난 일련의 기업경영 및 생산과정 과학화 운동과 고전적 조직이론이 접목되면서 구축된 관리이론. 테일러 등에 의해 대표되는 과학적 관리학파는 절약과 능률을 행정의 가장 중요한 가치 기준으로 삼고, 정치행정분리론을 토대로 행정 고유 영역의 활동을 규율하는 과학적 원리와 합리적인 관리기법을 탐구
# 고전적 인간관(classical human-view) : 초기의 행정이론, 즉 과학적 관리론과 원리주의 이론에서 파악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인간관. 1) 조직 속의 인간은 마치 기계의 부품처럼 심리적 유대감(紐帶感)을 갖지 못하며, 또 원자적 개체(原子的個體)처럼 독자적으로 행동하려 한다. 2) 조직 속의 인간은 피동적이라서 타율적으로 강제하거나 동기(動機)가 부여되지 않으면 조직이 요구하는 행동을 하지 못한다. 3) 인간은 경제적 욕구를 지닌 타산적인 존재이므로 경제적 보상(報償)을 줄 경우에만 조직의 목표 달성에 노력하려는 동기가 생겨난다.
이상을 미루어 보아 고전적 인간관은 대체로 인간의 경제성(經濟性), 피동성(被動性), 동기부여(motivation)의 외재성(外在性), 인간욕구의 획일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
-> 행태론은 바너드(C. I. Barnard)의 사회심리학적 접근법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나 이를 행정 현상에 적용시켜 행정행태론을 완성시킨 학자는 사이먼(H. A. Simon)이다. 그 밖에 행정행태에 관하여 심도 깊게 연구한 학자로는 맥그리거(D. McGregor), 리커트(R. Likert), 아지리스(C. Argyris) 등이 있다. 그러나 그 대표적 학자는 역시 사이먼이므로 여기서는 사이먼의 이론을 중심으로 행정행태론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 사회심리학적 접근법(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 한 사회 내에서 활동하는 개인 또는 집단의 의식이나 심리를 통해 행정현상을 연구하는 방법. 사회심리학적 접근법에서는 대인관계, 집단간의 관계, 제도 습과 문화 등의 관계를 개인 또는 집단의 심리적 반응과 관련지어 연구
# 행정 현상(administrative phenomenon) : 행저과 관련하여 생기는 모든 현상. 즉 특정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두 사람 이상이 모여 협동하는 행위(행정)에 의하여 생기는 모든 현상을 행정현상이라고 함
-> 사이먼(Simon)은 논리실증주의에 입각하여 그의 행정학을 구성함에 있어서 사회심리학적 접근법에 의거하고 있다. 즉, 그는 행정을 의사결정 과정(decision-making process)을 핵심으로 하는 행정행태로 파악하고 그것을 구명하려 하고 있는데, 행정은 넓은 의미로는 ‘협동적 집단행동'이고, 좁은 의미로는 '조직내의 인간적 협동에 공통되는 여러 형태의 유형'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행정에 작용하고 있는 심리적 과정의 분석이 행정연구의 중심과제라는 것이며, 행정인(行政人)의 심리적 특성이나 이념·가치관·개성 등으로 인하여 행정조직은 특정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되고, 또 의사결정도 이들 요인에 의하여 좌우된다는 것이다.
-> 또한 사이먼(Simon)은 실제로 관찰하거나 실험에 의하여 그 진위(眞僞)를 입증할 수 없는 이론은 과학성이 없다하여 배격하고 행정현상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자연과학에 있어서와 같은 경험적·실험적 방법에 의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사실적인 것과 가치적인 것을 엄격히 구분하고, 과학은 사실(事實)만을 취급하는 학문이라 하여 행정학에 있어서도 그 연구의 대상을 사실의 세계에만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의사결정에 있어서도 가치 판단적인 것[정책결정]과 사실 판단적인 것[정책집행]을 구별하고, 가치 판단적인 것은 정치에서 다루도록 하고 행정은 어디까지나 그 연구의 대상을 사실 판단적인 것에만 국한시켜야 한다는 정치·행정 새2원론을 주장하고 있다.
# 정책 결정(policy making) : 행정기관이 국가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작성해 그 결과를 예측 분석하고 채택하는 동태적인 과정. 즉 정책결정은 정책이 추구하는 미래의 바람직한 상태 즉 목표 상태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정책 목표 달성의 수단으로서 정책대안을 개발, 분석, 채택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 정책 집행(policy implementation) : 정책 수단들을 동원해 정책을 실질적으로 집행하는 것. 정책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많은 정책 수단과 계획들은 집행 작업을 거쳐 현실로 나타나야만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정책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정책집행은 오랜시간, 여러장소, 복합적인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행정적, 정치적 결정과 활동으로 이루어짐
-> 이와 같은 행정행태론은 많은 행정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196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의 행정 학계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행정행태론이 당시 미국의 사회적 불안에 아무런 처방을 주지 못하자 1970년대에 들어와 후기 행태주의(post-behavioralism) 주창자들과 신행정학파의 가치주의 옹호자들에 의하여 비판을 받게 되었다. 즉, 가치문제를 배제하고 객관적인 사실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고 하는 가치중립성은 실제로 유지할 수 없는 허구이고 가치에 관련되지 않은 과학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행정행태론은 사실과 가치의 구분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져 근시안적(近視眼的)이라서 행정 현실에서 일어나는 절박한 문제들을 해결해낼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내가 알아가는 도시 > Definition of te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드 오픈 데이터(Linked open data) (0) | 2018.03.25 |
---|---|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0) | 2018.03.25 |
총제주의&합리주의&공리주의&경험주의&실존주의 (0) | 2018.03.19 |
정치행정일원론&정치행정이원론 (0) | 2018.03.19 |
천민자본주의&정글자본주의 (0) | 2017.05.19 |